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https://velog.io/@velopert/create-typescript-react-component
- 게시판
- 출처 : https://joshua1988.github.io/web-development/javascript/promise-for-beginners/
- toString
- http://jeonghwan-kim.github.io/dev/2019/06/25/react-ts.html
- object
- 출처 : https://webdir.tistory.com/506
- Today
- Total
Back Ground
Hadoop 설치 본문
hadoop은 리눅스에서만 돌아가기 때문에 vm웨어를 설치하여 해보자.
하기전 필요한 Setting
window VM웨어를 사용한 Hadoop
VM웨어 : 하나의 물리적인 컴퓨터에 가상 PC를 설치하여 여러 대의 컴퓨터에 여러 운영체제를 구동시키는 것과 유사한 효과를 제공하는 가상 PC 프로그램입니다
Ubuntu : 리눅스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배포판입니다. 데비안 GNU/Linux를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.
VM웨어 설정
같은 네트워크에서 IP를 두개쓰는 개념으로
윈도우와 리눅스가 같은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것이다
하지만 NAT은 윈도우와 리눅스와 다른 네트워크로 설정한다는 것
인터넷이 안될땐 그냥 NAT로 설정해서 들어간다 (Ubuntu에서 설정)
Ctrl + Alt + T 를 누르면 된다.
콘솔창에서 IP를 찾아서
ping 192.168.0.19( PC ip ) 라고 치면 된다.
윈도우에 신호가 리눅스로 가는지 확인하는 과정이다.
ping으로 연결 확인
멈출때 Ctrl + C 하면 된다.
-관리자 권한-
리눅스 ping 확인하는 과정
(관리자)에서 실행해야 한다.
비밀번호 : qwert (설치할때 기존에 지정해둔 것)
우분투 레포지토리 추가(방법)
-우분투 레포지토리 추가 |
add-apt-repository ppa:webupd8team/java |
-업데이트 |
apt-get update |
-jdk 설치 |
apt-get install oracle-jdk7-installer |
- 결과 -
이렇게 된다
vii6( PC 이름 )
여기서 vii6#의 #은 관리자라는 표시
yes를 누른다
그럼 이렇게 설치가 된다.
기다린다... 조금 시간이 걸린..다
- 설치가 완료 -
자바 버젼을 확인 해본다
java -version
컴파일러 명령 확인
javac
java와 javac 차이
java -verion |
실행명령 |
javac |
컴파일 명령 |
보안 쉘 확인
하둡 통신시 ssh를 이용한다.
ssh localhost로 연결이 안될시
-보안 쉘 서버를 설치한다 |
apt-get install openssh-server |
-서버 재구동 |
/etc/init.d/shh restart <-(ssh 재설정) |
- 결과 -
netstat -ntl (네트워크 워크 상태확인)
포트번호 0.0.0.0:22 확인 할 수 있다.
- 암호없이 ssh(보안쉘)로 접속이 가능토록 설정 [접속 시 항상 암호를 쳐야했던 것을 하지 않는다.]
ssh-keygen -t rsa <-공개키
쌍(한쌍)을 생성
(마스터,슬레이브키를 생성 한다는 말)
여기서 엔터
엔터.. 엔터..
이렇게 나올때 까지 엔터를 누르면 된다
cat ~/.ssh/id_rsa.pub >> ~/.ssh/authorized_key ~/ 홈 id_rsa.pub |
cat(읽어 드리다)
ssh localhost라고 쳐서 작동하는지 알아본다
편집기 설치
apt-get install vim
vim : 윈도우 메모장 같은것(리눅스에서 가장 기본적인 편집기)
- 설치 완료 -
http://ftp.daum.net/apache/hadoop/common
우분투 파이어 폭스로 들어간다
이 경로로 들어와 보면
hadoop-1.2.1.tar.gz를 다운로드 받을건데
save로 받는다.
다운되면 다운로드 S 폴더에 저장된다.
그리고 exit를 반복적으로 해주면
이렇게 초기로 나가진다
이렇게 치면 ls(리스트)로 확인해서
현재위치에 어디 있는지 확인 해 본다.
다운로드 S가 있는지 확인한다.
이런식으로 하면 속안에 있는걸 복수 있다
관리자로 들어가서 다운로드 할 경우 관리자 home으로 저장된다.
#cp hadoop-1.2.1.tar.gz /usr/local <-로 복사한다
cd/usr/local
결과
tar zxvf hadoop-1.2.1.tar.gz
tar |
· 묶거나 풀거나할때 쓰는 명령어 |
gz |
· 이것이 묶였단 뜻 [tar.gz 묶인다음에 압축이 되었습니다란 뜻] |
tar zxvf |
· z는 압축을 불러오는것 · x는 tar를 푸는것 · vf[버거스(상세하게)]파일이란 뜻 ) |
ch hadoop-1.2.1로 들어와서
ls로 속안 확인
hadoop-examples-1.2.1.jar를 실행한 것이다 ( 가장 중요한 파일 )
설치는 끝